이동 삭제 역사 ACL 재벌집 막내아들(드라마) (r4 문단 편집) [오류!] 편집기 RAW 편집 미리보기 굵게기울임취소선링크파일각주틀 == [[/방영 목록|방영 목록]] 및 시청률 == ||<|2><tablewidth=100%><table bgcolor=#fff,#1f2023><table bordercolor=#020226><rowbgcolor=#020226><rowcolor=#ffffff><width=15%> '''회차''' ||<|2><width=30%> '''방영일''' ||<-2> '''시청률(%)''' ||<|2><width=15%> '''비고''' || ||<rowbgcolor=#020226><rowcolor=#ffffff><width=20%> '''전국''' ||<width=20%> '''수도권''' || ||<colbgcolor=#f5f5f5,#2d2f34> '''1회''' || 2022.11.18. ||<bgcolor=#e2e1fe,#B9B7E2> '''{{{#blue,#0404A6 6.058}}}''' ||<bgcolor=#e2e1fe,#B9B7E2> '''{{{#blue,#0404A6 6.723}}}''' || || || '''2회''' || 2022.11.19. || 8.845 || 9.824 || || || '''3회''' || 2022.11.20. || 10.826 || 11.713 || [* 전국/수도권 시청률 10% 돌파] || || '''4회''' || 2022.11.25. || 11.800 || 13.153 || || || '''5회''' || 2022.11.26. || 14.758 || 16.195 || || || '''6회''' || 2022.11.27. || 14.880 || 16.507 || || ||<#000><-5><:>{{{#fff '''2022.12.02. 결방 및 6회 재방송'''}}} || || '''7회''' || 2022.12.03. || 16.102 || 18.026 || || || '''8회''' || 2022.12.04. || 19.449 || 21.766 || [* 수도권 시청률 20% 돌파] || || '''9회''' || 2022.12.09. || 16.995 || 19.512 || || || '''10회''' || 2022.12.10. || 18.337 || 20.515 || || || '''11회''' || 2022.12.11. || 21.137 || 23.858 || [* 전국 시청률 20% 돌파] || || '''12회''' || 2022.12.16. || 19.817 || 22.178 || || || '''13회''' || 2022.12.17. || 22.456 || 24.370 || || || '''14회''' || 2022.12.18. || 24.936 || 26.949 || || ||<#000><-5><:>{{{#fff '''2022.12.23. 결방 및 14회 재방송'''}}} || || '''15회''' || 2022.12.24. || 25.032 || 28.164 || [* '''전국 시청률 25% 돌파'''] || || '''16회''' || 2022.12.25. ||<bgcolor=#fedede,#DBACAC> '''{{{#red,#BD0000 26.948}}}''' ||<bgcolor=#fedede,#DBACAC> '''{{{#red,#BD0000 30.101}}}''' || [* '''수도권 시청률 30% 돌파'''] || ||<bgcolor=#020226,#020226><color=white><-5>{{{-1 ※ [[닐슨미디어코리아|{{{#white 닐슨코리아}}}]] 시청률 기준, 단위 [[%]].[br]※ '''[범례]''' {{{#!wiki style="display: inline-block; margin: 2px; padding: 2px 3px; border-radius: 3px; background-color: #ffffff" {{{#black {{{#blue,#0404A6 최저 시청률}}} | {{{#red,#BD0000 최고 시청률}}}}}}}}}}}} || * 1회부터 시청률 6%를 달성하며 2022년 [[JTBC 드라마]] 첫 방송 최고 시청률이자 〈[[부부의 세계]]〉 다음으로 JTBC 역대 첫 방송 최고 시청률을 달성했다.[* 소숫점 아래의 근소한 차이로 JTBC 드라마 전체 첫 방송 최고 시청률은 달성하지 못했다.] 최근 JTBC 드라마의 정체기를 깬 긴 가뭄 끝에 내리는 [[구원자|한줄기 단비같은 드라마]]라 할 수 있겠다. * 2회에서는 수도권 기준 분당 최고 시청률이 12.4%를 돌파했다. * 3회 만에 전국 및 수도권 시청률이 '''10%를 돌파'''했다. [[http://biz.heraldcorp.com/view.php?ud=20221122000552|#]] * 4회부터는 최고 시청률을 경신하며 매 회 최고 시청률을 매 회마다 갈아치우며, 수도권에서는 15%를 돌파했다. * 시청률 정체없이 매 회마다 파죽지세의 시청률 상승세로, 드라마 [[슈룹]]은 5화만에 제쳤고, 이제는 2022년 한국 주중드라마 최고 시청률을 기록한 [[이상한 변호사 우영우]]의 최고 시청률 17.5%과, 2021년 9월 10일 [[펜트하우스 III]] 마지막화 이후 1년 3개월간 국내 어떤 드라마도 경신하지 못한[* 한 때 [[빅마우스]]와 [[천원짜리 변호사]]가 이를 뛰어넘을 것으로 전망되었으나, 빅마우스는 여름 휴가철에 방영되며 13.7%에서 멈췄고, 천원짜리 변호사도 잦은 결방과 진부한 극 흐름으로 15.2%에서 멈춰버렸다.] 20%의 벽을 넘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. 5회 시점에서 우영우는 거의 따라잡았고 결국 하반기 방송 드라마 중 유일하게 우영우를 꺾은 드라마가 되었다. * 6회 시청률이 전국 14.9%, 수도권 16.5%로 3회 연속 자체 최고를 경신했다. [[https://www.xportsnews.com/article/1659359|#]] * 7회는 결방이라는 핸디캡을 극복하고 또 4회 연속 자체 최고 시청률인 전국 16.2%, 수도권 18.0%을 기록했다. * 9회에서 처음으로 시청률이 하락하였지만 매 회차 시청률이 상승하는 상황이었기에 요일별 시청률 추이를 예상하기 어려워 시청률이 실제로 하락한 것인지 방영 요일에 따른 변화인지 알 수 없었다. 10회에서 시청률이 상승한데 이어 11회에서 최고 시청률을 기록하면서 금요일 시간대가 타 방송사의 금토 드라마([[SBS TV|SBS]] [[소방서 옆 경찰서]], [[MBC TV|MBC]] [[금혼령, 조선 혼인 금지령]])와 시간이 겹친 것에 영향이 있었던 듯 하다. * 강력한 경쟁작에도 불구하고 시청률에서 선방하며 경쟁중인 [[소방서 옆 경찰서]]가 16일 이후엔 [[SBS]]의 연말 시상식 진행으로 17일과 24일 결방이 예정되어있고 이 드라마도 연내 종영을 위한 일정상 23일 결방이 예정되어 더 이상 경쟁하는 일자가 없게 된다. 시청률이 상승할 여지는 충분한 셈이다. 복병이 있다면 연말 시상식인데 재벌집 막내아들과 겹치는 시상식은 16일 [[2022 KBS 가요대축제: Y2K|KBS 가요대축제]], 17일 [[SBS 연예대상/2021~2025년#s-2|SBS 연예대상]], 24일 [[2022 SBS 가요대전: THE LIVE SHOUT OUT|SBS 가요대전]]과 [[KBS 연예대상/2021~2025년#s-2|KBS 연예대상]]이 있다. 다만, 지상파 3사 연말 시상식의 권위가 과거보다 낮아져서 2021년 시청률 기준 [[KBS 가요대축제]] 2.4%[* 여긴 오히려 가요대축제가 걱정해야할 판국이다. 지속적으로 가요대전보다는 나은 시청률을 보여주었으나 [[소방서 옆 경찰서]]와 재벌집 막내아들에 치여 2%조차 넘긴 어려울 수 있다.], [[SBS 연예대상]] 6.3%[* 여긴 기존에 방영중인 금토 드라마가 시상식보다 시청률이 높다], [[SBS 가요대전]] 1.7%, [[KBS 연예대상]] 5.7%로 저조한 실정이라 그리 큰 영향은 없을 수 있다. 실제로 16일 방영된 12화는 KBS 가요대축제가 2.6%를 기록하며 금요일 방영분 역대 최고 시청률 기록을 경신했다. 17일 방영된 13화도 SBS 연예대상이 5.5%로 또 최저 시청률을 기록하며 토요일 방영분 역대 최고 시청률을 달성했다. 24일 방영된 15화도 KBS 연예대상이 5.2%를 기록하고 SBS 가요대전이 2.5%를 기록하며 토요일 방영분 역대 최고 시청률을 다시 갈아치우며 별 타격이 없었다. * 11회 시청률은 '''21.1%''' 로 8회 시청률 19.4%라는 자체기록을 다시 한번 깨며 '''2022년 한국 주중드라마 최고 시청률'''을 달성했다.[* JTBC Drama 유튜브 커뮤니티 [[https://www.youtube.com/channel/UCkbJc8jMcTXwhtmN5VMwfXg/community?lb=UgkxLEU2BCQdm82X5KvWO4J3JpgjpbnuE2dD|축하짤1]] [[https://www.youtube.com/channel/UCkbJc8jMcTXwhtmN5VMwfXg/community?lb=UgkxxlixnPHQTFOU6Pw-qpy5fs0L-sLZp_nA|축하짤2]] [[https://www.youtube.com/channel/UCkbJc8jMcTXwhtmN5VMwfXg/community?lb=UgkxS2ZFM1LPvTNDCoORhVd3-dlgGGD9OJLr|축하짤3]] (PC버전이나 안드로이드 폰 유튜브 앱 설치자만 열람 가능)] * 14회에서 시청률 '''24.9%'''라는 자체 최고 기록으로 [[응답하라 1988]](18.8%)과 [[쓸쓸하고 찬란하神 - 도깨비]](20.5%), [[사랑의 불시착]](21.7%), [[SKY 캐슬]](23.8%)을 제치고 '''역대 비지상파 드라마 시청률 2위'''[* 1위는 JTBC [[부부의 세계]](28.4%)이다. JTBC 입장에선 부부의 세계 이후 2년 반 만의 대히트작이자 비지상파 드라마 시청률 순위에서 드라마 왕국으로 불렸던 [[tvN]]을 제치고 1, 2, 3위를 다 차지한 기염을 토한 셈이다.]를 기록하였다. 또한 [[낭만닥터 김사부 2]]의 최고 시청률(24.5%[* 1부, 2부, 3부 시청률 통합.])까지 넘어서며 2020년대 한국 주중 드라마 시청률 역대 4위를 기록하며 2022년을 넘어 2020년대 흥행작들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. * 15회에서 시청률 '''25.0%'''를 기록해 자체 최고 시청률 기록을 또 다시 경신하며 2021년 4월 2일 [[펜트하우스 II]] 마지막화 이후 1년 9개월 만에 시청률 25%를 넘긴 드라마가 되었다. ##펜트하우스 시리즈는 '''전국''' 시청률 30%를 넘은 적이 없으며, 31%는 "1분간의 순간" 최고 시청률 입니다. 또한 다른 드라마와 다르게 1부, 2부 '''쪼개기 편성'''이었기 때문에 시청률 비교가 무의미합니다. ##2012년 12월 2일 결방과 관련하여 [[카타르 월드컵]] 때문에 결방한다는 후속 보도가 있었습니다. [[http://www.mediapen.com/news/view/774198|#]] * 16회에서 '''26.9%'''를 기록, 수도권에서는 '''마의 30%를 넘기며''' 1.5%p차로 비지상파 드라마 시청률 역대 '''2위'''에 앉게 되어 결국 같은 방송사의 드라마였던 [[부부의 세계]](28.4%)의 아성은 넘지 못했다.[* [[펜트하우스(드라마)|펜트하우스]]의 16화 시청률인 26.0%를 넘겼고, [[펜트하우스 II]]와 [[펜트하우스 III]]의 마지막화 시청률인 26.5%와 21.6%를 모두 넘겼지만 시즌 1 마지막화 시청률인 28.8%는 끝내 넘기지 못했다.] im preview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함으로써, 사용자는 본인이 기여한 콘텐츠가 CC BY-NC-SA 2.0 KR에 따라 배포되며,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표시를 하이퍼링크나 URL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합니다. 또한, 이 동의는 기여한 콘텐츠가 저장되고 배포된 이후에는 철회할 수 없음을 명확히 이해하고 동의합니다.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.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,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(3.137.150.11)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. 저장